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란 전자상거래 시 서명의 용도로 본인만의 온라인 인감증명서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과거에는 공인인증서라 불리었으며 이후 폐지되었으나 실상은 다를 것이 없으며 명칭만 변경된 것입니다.
공인인증서는 불편하다는 인식과 함께 폐지순을 밟게 되는데 이에 따라 금융인증서, 네이버인증서, 카카오인증서와 같은 다양한 인증 방법이 개발되고 생체인식 인증 등의 방식이 생겨나며 보안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 없는 장점이 있어 국민들에게 다양한 선택권이 주어졌습니다. 하지만 법인의 경우 공동인증서 외의 방법을 선택할 수 없는 어려움 등 한계점이 있어 아직까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1. 공동인증서 종류
공동인증서는 개인과 법인의 전자서명 용도로 구분됩니다. 종류는 일반인증서와 범용인증서 등으로 나뉩니다. 개인의 공동인증서는 일반인증서와 범용인증서로 나누어집니다.
일반용은 주로 금융거래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고 발급비용은 무료입니다. 범용은 금융거래 이외의 광범위한 전자서명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발급 비용은 연 4,400원입니다. 이외에도 법인 공인인증서의 경우는 전자세금계산서 발급용, 전자무역용 등과 같은 목적에 따라 발급 가능한 공인인증서가 있으며 발급비용은 연 4,400원, 연 110만 원 등 다양합니다.
2. 공동인증서 발급방법
발급방법은 사용하고자 하는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각 은행 인터넷뱅킹 페이지에서 발급할 수 있으며 발급일로부터 1년간 유효합니다. 자세한 발급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공동인증서 발급방법
- 사용하고자 하는 은행의 인터넷뱅킹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 상단 카테고리 인증센터를 클릭합니다.
-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 발급/재발급을 클릭합니다.
- 인증서 종류를 선택하고 은행 개인정보를 기입하면 발급됩니다.
- 발급된 공동인증서는 이동식 디스크에 받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발급된 공동인증서는 1년간 유효합니다.
3. 공동인증서 사용처
공동인증서는 일반적으로 각종 금융기관에서 금융거래, 보험, 증권 거래 등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전자세금계산서 발급용, 전자무역용 등과 같은 용도성 인증서를 발급받은 경우 홈택스, 트레이드 사인, 한국무역협회 등과 같은 정부기관의 사용도 가능케 합니다.
4. 공동인증서 복사/가져오기/내보내기
발급받은 공동인증서는 인터넷 또는 스마트폰에서 발급받은 후 다른 보관처(인터넷->스마트폰/스마트폰->컴퓨터) 등으로 복사하여 사용이 가능합니다.
PC>모바일 가져오기
- 사용 중인 은행 앱에 접속 후 인증센터를 선택합니다.
- 공동인증서에 접속 후 PC에서 가져오기를 클릭합니다.
- 공동인증서 인증 후 인증번호로 가져오기를 선택합니다.
- PC에서 인증번호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사용 중인 모바일 기기로 옮겨집니다.
모바일>PC 가져오기
- 사용 중인 은행 앱에 접속 후 인증센터를 선택합니다.
- 공동인증서에 접속 후 모바일에서 내보내기를 클릭합니다.
- 공동인증서 인증 후 인증번호로 가져오기를 선택합니다.
- PC에서 인증번호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사용 중인 PC로 가져올 수 있습니다.
5. 비밀번호 찾기
공동인증서의 비밀번호를 5회 이상 틀리는 경우 직접 은행에 방문하거나 공동인증서 재발급을 통해 해결해여 합니다. 비밀번호를 잊었을 경우를 대비한 비밀번호를 찾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비밀번호 찾는 방법
- 한국정보인증 접속 – 공동인증서 관리 탭을 클릭합니다.
- 주요 기능 – 인증서 암호 확인 순서로 클릭합니다.
- 비밀번호를 기억나는대로 입력해서 찾을 수 있으며 틀려도 오류메시지가 출력되지 않아 계속해서 확인이 가능합니다.